본문 바로가기
행정

농산물바우처 신청안내

by goatkeeper 2024. 4. 3.
반응형

안뇽~~~, goatkeeper 입니다.

저소득 취약계층의 영양 보충 지원 및 국민 먹거리 안정 강화를 위한 농식품 바우처 시범사업이 2024년 3월 4일(월)부터 진행됩니다.

2024년 농식품 바우처 시범사업은 '24.3~8월(6개월) 까지 진행될 예정이며,시범지역은 24개 지자체의 주소지 관할 읍·면.동사무소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(부산 부산진구, 대구 달성군, 인천 옹진군, 강원 영월군, 충북 충주시·괴산군,충남 당진시·청양군·예산군, 전북 군산시·김제시·부안군, 전남 곡성군·강진군·해남군·영광군·장성군,경북 상주시·청도군·예천군, 경남 밀양시·거제시·하동군, 제주 서귀포시)

애시당초 위 시범지역을 정하고 약6개월간만 실시하려 하였느나  최근 농산물가격의 폭등으로 서민고충이 심화되자 정부에서는 무기한 무제한을 원칙으로 확대적용하려고 하고 있습니다.

 

오늘은 농산물바우처제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
 

▣ 농식품바우처 제도 ?

소득 불평등 심화, 고령화 등으로 경제적 취약계층이 확대되고, 영양섭취수준과 식습관 악화로 건강 위협이 심화됨에 따라미래에 부담해야 하는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해 경제적 취약계층 대상 영양 보충적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본제도 도입을 추진중에 있습니다.

농식품바우처 제도를 통해 취약계층의 영양, 건강이 개선되고 식품접근성이 강화되는 등 먹거리 정의(Food Justice)실현으로 사회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

경제적 취약계층의 식품 접근성 강화 및 영양 보충지원, 국산 농축산물의 지속 가능한 소비 기반을 구축하고, 식생활교육연계를 통한 취약계층의 식생활 개선을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.

▣ 지원대상  :   중위소득 50%이하 가구(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)

  • 중위소득이란?
   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
  •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            

▣ 지원금액 

▣ 공급품목 

취약계층의 부족한 영양소,식품소비 패턴,선호도,국내산 공급여력 등을 고려하여 지원대상 품목의 적합성을 판단

 특히,농산물 수요‧공급조절 유지와 소비촉진 등 농업과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선순환체계 구축검토 국내산 과일, 채소, 흰 우유, 신선계란, 육류, 잡곡, 꿀, 두부류, 단순가공채소류, 산양유(이외 품목 구입 불가)

 

▣ 지급방식

 

 

▣ 신청방법

농식품바우처 시범사업 신청서 양식.hwp
0.04MB

지금까지 농산물바우처제도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by 125goatkeeper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반응형